기사 메일전송
[차현담의 요가칼럼 36] 욕망(Kama까마)으로 가는 경향성(Vasana바사나) 다스리기, 자누 시르샤사나(JANU SIRSASANA)
  • 울산 뉴스투데이 기자
  • 등록 2015-09-23 15:38:00

기사수정
  • 자누 시르샤사나(JANU SIRSASANA)
▲ 순서) 단다사나로 앉습니다. 왼발은 뻗은 상태에서 오른발 뒤꿈치를 회음부에 갖다 대고 무릎을 밖으로 90~95도 정도 벌립니다. 마시며 두 손으로 왼발을 잡고 팔이 펴질 때 까지 가슴을 들어올립니다. 양쪽 어깨의 수평을 맞추고, 척추가 틀어지지 않도록 왼쪽 엉덩이를 뒤로 당기고 오른쪽 엉덩이를 앞으로 당깁니다. 내쉬는 숨에 상체를 하체 쪽으로 기울입니다. 발끝이나 코끝을 응시하고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호흡과 함께 자세를 유지합니다.마시는 숨에 두 손으로 발을 잡은 채 가슴과 머리 숨으로 상체를 일으키고, 내쉬는 숨에 손과 오른다리를 바르게 펴고 왼쪽도 반복합니다.     © 울산 뉴스투데이


나마스떼. 요가강사 차현담입니다.

추석이 목전으로 다가왔습니다. 어른들을 만나 뵙기 위해 새 옷과 새 신발 등 무언가 사야 될 것 같은 생각이 드는 시기인 것 같습니다.

왜 우리는 때마다 옷과 신발 등을 사도 마땅치 않고, 끝없이 더 사고 싶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정말로 부족해서 일까요? 혹시, 우리가 깨진 항아리인줄 모르고 그 욕망의 항아리를 채우려하는 것은 아닐까요?

욕망이라 함은 부족함을 느껴 무엇을 가지거나 누리고자 탐하는 것이나 그러한 마음을 말합니다.

요가 경전 중 바가바드 기타(Bhagavad Gita)에서는 ‘모든 욕망을 버리고 마음을 제어하여 집중한 상태로 있으며, 감각기관과 마음의 활동을 지속적으로 제어하는 구도자는 내면의 참자아와 합일하게 되어 완전한 평화 속에 거하게 된다.’(6장 11-15)고 하였습니다.

또한, 경향성(Vasana바사나)이라는 것은 무의식적인 행동의 인상이나 기쁨과 욕구 등에 의해 만들어지는 사람의 경향을 의미합니다. 기쁨이나 열망 등에 대한 잠재적인 욕망이 사람의 반복적인 행위 등으로 표현이 되는 것이죠.

욕망과 경향성, 이 둘이 조절 될 때 삶의 진정한 행복이 무엇인지 알 수 있게 되지 않을까요?

올 가을, 온전한 행복의 섬으로 가는 삶의 여행길을 자누 시르샤사나와 함께 하세요.

※자누시르샤사나의 효능

-간과 비장을 다스려서 소화를 촉진시킴
-전립선 비대증으로 고생하는 사람의 경우 긴 시간 머무르도록 하여 자세에 대한 효능을 볼 수 있도록 함. 이때 사르방가사나(칼럼 14호 참조)와 함께 수련을 해야 함.
-만성 냉증에도 효과가 있음.
-뇌를 고요한 상태로 만들고 가벼운 우울증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됨.
-폐경기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되며 불안, 피로, 두통, 생리 시 오는 고통이나 불쾌감을 완화시켜줌.
-고혈압, 불면증, 부비강염을 위한 치유에도 도움이 됨.
-주의사항: 천식, 설사, 무릎부상의 경우(이러한 경우에는 요가지도자의 가이드 아래에서 수련하도록 함.)

옴 평화 평화 평화...

Ashtanga Yoga Shala 원장, 차현담. (052-254-9119)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울산뉴스투데이
신정장애인보호작업장
퐁당퐁당(생태교육 및 수족관 판매, …
해피코리아
한국수력원자력l주l
나누리 그린 하우스
LS MnM
에코누리
여천장애인보호작업장
(주)A&S
(주)울산리싸이클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