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김태흠 의원, 국책사업 입찰담합 솜방망이 처벌로 '재발'
  • 울산 뉴스투데이 기자
  • 등록 2014-10-13 10:11:00

기사수정
  • 5년간 34개 사업, 190개 건설사 과징금 1조7천억 감면
▲ 새누리당 김태흠 의원. 사진제공=국제뉴스    
최근 5년간 총 34개 국토교통분야 국책사업이 공정거래위원회에 입찰담합으로 적발됐으나 건설경기 침체 및 기업적자 등의 이유로 솜방망이 처벌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1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김태흠 의원(새누리당, 보령.서천)이 국토교통부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책사업 입찰담합은 지난 2010년 8개 사업, 2012년 14개 사업에서 발생했으며 지난해 1개 사업, 올해는 9월까지 11개 사업이 공정위 처분을 받았다. 이들 34개 국책사업의 총사업비는 9조8,000억원에 달한다.

공정위는 조사를 통해 이들 34개 사업 입찰담합에 참여한 190개 업체에 대해 총 2조4,070억원의 과징금을 산정했으나 이런저런 이유로 1조7,000억원을 감면해 최종 7,186억원이 부과됐다.

감면은 기업별로 최대 100%(면제)까지 이뤄졌으며 5년간 담합에 적발되고도 기업회생 절차 등을 사유로 과징금을 한 푼도 내지 않은 기업이 43개에 달했다.

5년간 입찰담합이 적발된 사업들의 과징금 평균 감면율은 70.1%에 달한다. 특히 LH가 발주 한 '청원오송아파트 건설공사'는 88.0%로 가장 감면율이 높아 113억원에서 14억원으로 줄어들었다.

과징금 감면은 ▲조사에 대한 협조 ▲부담능력 ▲단순가담 ▲공동수급 ▲건설시장위축 등의 사유로 이뤄졌다.

공정위 처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담합을 일삼는 기업이 많았는데 '동양건설산업'은 5년간 총 8차례 담합으로 적발 돼 가장 많았으며 5차례 이상 적발 된 건설사가 14개나 됐고 3번 이상 적발 업체도 12개에 달했다.

5년간 과징금이 가장 큰 건설사는 '삼성물산'으로 1,095억원에 달했으며 대림산업 1,022억원, 현대건설 952억원 순으로 많았다.

발주기관을 보면 한국토지주택공사(LH) 주관 사업이 11개로 가장 많아 입찰관리가 가장 부실했고 수자원공사 소관 사업이 7개로 뒤를 이었으며 나머지는 서울(2), 대전(3), 부산(6) 지방국토관리청과 철도시설공단의(5) 사업이었다.

지방국토관리청․LH․수공․철도시설공단 등 사업 발주 기관들은 담합으로 적발 된 건설사에 대해 최대 2년 동안 입찰참가제한 처분을 내렸지만 해당 기업들은 다른 공공기관 발주사업으로 자리를 옮겨가며 담합을 계속하고 있다.

김태흠 의원은 "1차적으로는 건설사들이 공정하게 입찰에 참여해야 하지만 공정위의 솜방망이 처벌과 발주기관의 입찰 관리 부실이 국책사업의 담합을 부채질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입찰 담합은 부실공사와 사업비 증가로 국민들에게 피해가 가는 만큼 담합행위를 근절하겠다는 관계 당국의 의지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국제뉴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울산뉴스투데이
신정장애인보호작업장
퐁당퐁당(생태교육 및 수족관 판매, …
해피코리아
한국수력원자력l주l
나누리 그린 하우스
LS MnM
에코누리
여천장애인보호작업장
(주)A&S
(주)울산리싸이클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