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태평양 건너 UNIST 온 美 장학생
  • 서보현 기자
  • 등록 2014-01-13 13:13:00

기사수정
  • 미국 '풀브라이트 장학생(Fullbright Grantee)' 알란, 그래핀 연구 위해 울산과학기술대학교 문 두드려
 
[링크투데이 = 서보현 기자] 미국에서 촉망받는 장학제도의 수혜자인 풀브라이트 장학생(Fulbright Grantee)이 그래핀을 연구하기 위해 UNIST에서 연구 중이라는 사실이 알려져 화제다.
 
그 주인공은 24세의 미국인 알란 파일러(Alan filer) 씨. UNIST(울산과학기술대학교·총장 조무제)는 알란 씨가 지난해 8월부터 백종범 교수(친환경에너지공학부) 연구실에서 그래핀 연구에 전념 중이라고 13일 밝혔다.
 
▲ 미국 유수의 장학제도인 풀브라이트 혜택을 받고 있는 장학생 알란 파일러(Alan Filer)씨가 그래핀 연구를 위해 울산과학기술대학교에서 유학하는 사실이 알려져 화제다.     © 울산과학기술대학교

 
풀브라이트 장학금을 받아 유럽 등 다른 국가의 명문대에서 연구할 수 있음에도 알란 씨가 UNIST를 선택한 이유는 그래핀을 연구하고자 하는 열정 때문이다.
 
알란 파일러 씨는 “그래핀 관련 뉴스를 검색하다 볼밀을 이용해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그래핀을 대량생산하는 UNIST 백종범 교수를 알게 됐다”라며 “백 교수를 통해 UNIST가 그래핀 연구 분야에서 독보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하는 대학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고, UNIST에서 연구하게 됐다”라고 말했다.
 
파일러 씨는 또한 “UNIST의 최첨단 연구시설이 정말 인상 깊다”라며 “그래핀 연구 분야의 뛰어난 과학자인 백종범 교수와 함께 연구할 수 있어 기쁘다”라고 덧붙였다.
 
알란 파일러 씨는 오는 8월 풀브라이트 장학 기간이 끝나면 미국으로 돌아간다. 귀국하기 전 파일러 씨는 울산의 12경을 모두 돌아볼 계획이다. 파일러 씨는 “제게 있어 울산은 단순히 연구하러 온 곳이 아니라 문화를 배우고, 알고 싶은 소중한 곳이다”라며 “남은 기간 동안 제2의 고향 울산에서 아름다운 추억을 많이 만들고 싶다”라고 말했다.
 
풀브라이트 장학제도는 지난 1946년 미국의 풀브라이트 상원의원의 제안에 따라 만든 장학금 프로그램이다. 전 세계 각지의 우수한  학생들이 공부 또는 연구를 목적으로 미국에 오게 하거나 미국 학부 졸업생들이 미국 외에 다른 국가에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울산뉴스투데이
신정장애인보호작업장
퐁당퐁당(생태교육 및 수족관 판매, …
해피코리아
한국수력원자력l주l
나누리 그린 하우스
LS MnM
에코누리
여천장애인보호작업장
(주)A&S
(주)울산리싸이클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